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환경이 나빠지는 가운데 '진성매각(true sale)' 논란에 멈췄던 여신업계 PF 정상화펀드가 다시 돌아온다. 금융당국과 업계는 PF 부실사업장 정리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펀드 조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업계는 여신업계 3차 PF 정상화펀드 조성을 위해 진성매각 논란이 없는 펀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의 중이다.
앞서 저축은행업계와 여신업계 등 2금융권에서는 부실 PF 사업장 정리를 위해 각 업권별로 PF 정상화 펀드를 만든 바 있다. 그런데 이 펀드를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성매각이 아니라는 지적을 받았고 조성이 중단됐다.
금감원이 1·2차까지 조성됐던 PF 정상화 펀드들을 점검한 결과 부실 사업장을 매각한 저축은행과 펀드에 자금을 댄 저축은행이 상당 부분 일치했다. 부실 우려 평가를 받은 PF 사업장은 경·공매를 통해 매각을 추진해야 하며 대출액의 75%를 충당금으로 내야 한다. 그러나 금융사가 보유한 이 부실 사업장을 해당 업계에서 조성된 펀드에서 매입하면 충당금을 확보하지 않아도 사업장을 우회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여신업계 PF 정상화펀드도 이 논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했고 조성이 중단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진성매각 논란이 없는 구조를 가진 PF 정상화펀드를 만들기 위해 논의 중"이라며 "다양한 방식으로 부실 PF 사업장 구조조정을 진행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당국은 현재 저축은행 업권 PF 정상화펀드 또한 다시 조성할 수 있도록 논의 중이다.
정상화펀드가 조성된다면 여신업계 부실 PF 정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1·2차 PF 정상화펀드는 나오자마자 인기를 끌며 한도를 빠르게 소진했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여신업계 PF 리스크 관리 모범규준이 개정·시행되며 여신금융사들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PF 사업장은 즉시 경·공매를 통해 매각해야 한다. 만약 팔리지 않는다면 가격을 낮춰서 다시 경·공매 시장에 내놔야 한다. 여신업계뿐 아니라 타 업권에서도 부실 PF 사업장이 쏟아지고 있어, 낮은 금액에 매각될 가능성이 큰 상황에 PF 정상화펀드는 가뭄에 단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신금융협회에 등록된 캐피털사(50곳) 공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공시된 업계 부실채권 규모는 7500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PF 관련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한 2023년 업계 부실채권 규모 2900억원과 비교해도 2.5배 이상 더 늘어난 수치다. 여신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논의가 끝나면 펀드 규모를 정하고 참여사를 받아 PF 정상화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