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국회경비대원 등이 출입증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파면 선고 되면서, 여야가 본격적인 조기 대선 체제에 들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하면서 공약 구상을 시작했다. 사실상 구체적인 경선룰만 정하면 된다. 민주당보다 뒤늦게 조기 대선을 준비하게 된 국민의힘은 정권 재창출을 위한 경선 후보 선별 작업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대통령 파면 이후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헌재의 탄핵 결정 선고 10일 이내에 대선 날짜를 공고해야 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공직선거법의 선거일 공고 조항을 종합하면 한 권한대행은 5월 24일부터 최대 6월 3일 안에 대선 날짜를 택해야 한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때도 공직선거법상 60일을 맞춰서 5월 9일에 대선을 했기 때문에 6월 3일이 유력하다는 정치권의 분석이 나온다. 그러면 각 당은 선거일 23일 전인 5월 11일까지 후보를 선관위에 등록하고, 공식적인 선거운동은 5월 12일부터 시작한다. 대선 출마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은 5월 4일 전까지 사직해야 한다.
조기 대선 국면이 시작하면서 여야가 선거 채비에 나섰다. 윤 대통령의 파면으로 여당이라는 지위를 잃은 국민의힘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치열하게 경선 후보를 추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지금 대선 경선에 10명이 넘게 나온다는 얘기가 있다"면서 "상당히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지율 1위다. 이날 발표된 한국갤럽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를 물은 결과, 김 장관이 9%, 한동훈 전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4%, 오세훈 서울시장 2% 등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p), 응답률은 13.7%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민주당은 일찍이 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하면서 구체적인 경선룰과 공약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야권 유력 대선 주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다.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이 대표가 34%의 지지를 받고 있다. 유일하게 두 자릿수 지지율을 받고 있고, 여권 주자들을 다 합쳐도 이 대표 지지율을 넘지 않는 상황이다.
사실상 민주당은 경선부터 본선모드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당대표직을 사퇴해야 하는데, 사퇴 시점은 금명간 이뤄질 전망이다. 이 대표가 당대표직을 그만둬야 경선룰을 조속하게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국민의힘과 달리 민주당은 경선룰을 어떻게 정하든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 구체적인 대선 캠프 행보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조기 대선 때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은 3주간 치러졌다. 1차 예비경선은 당원 50%, 일반 국민이 50%씩 참여했다. 본 경선은 전국대의원과 권리당원, 일반 국민으로 구성된 선거인단 투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대표가 아닌 이른바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의 출마 행보도 주목된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영록 전 전남지사, 전재수 의원 등이 경선에 도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이번 경선은 끝나고 계파 갈등 같은 것 없이, 통합으로 마무리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정권 창출을 위해 비명계 인사들도 캠프에 합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