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임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백악관 역시 이를 계속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FP통신에 따르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8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의 해임이 전과 달리 지금은 가능한 선택지인가'라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해싯 위원장은 지난 2021년 자신의 저서 '더 드리프트 : 미국의 사회주의화 방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임하면 연준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해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달러의 신뢰성과 주식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하지만 백악관에 몸담게 되면서, 과거 입장과 다른 견해를 내놓았다. 이에 대해 그는 "(책을 쓸 당시) 시장은 지금과 완전히 상황이 달랐다. 당시 우리가 가진 법적 분석에 근거해 말한 것이었다. 새로운 법적 분석이 다른 결론을 제시하면 우리는 대응을 재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파월 의장을 향해 "항상 너무 늦고 틀리다"면서 금리인하를 압박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의 임기는 빨리 끝나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바라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만약 자기가 뭘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연준 의장이 있었다면 기준금리가 내려가고 있을 것이다.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준 의장은 대통령에게 임명 권한이 있으나,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 해임 역시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 금리 등 정책 이견은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