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환자의 필요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개혁, 요양과 돌봄까지 이어지는 포괄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응급·분만·외상치료 등 필수 의료는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말하며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을 양성,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해 나가겠다"며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겠다"고 의료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가 발표한 의료 정책 공약은 '공공의료 강화', '의대 정원 합리화', '통합돌봄 체계 구축'으로 요약된다.
특히 이 후보는 '의대 정원 합리화'를 공약했다. 그는 "지난 의료 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야 한다"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했다. 또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에서 출발해, 인공지능(AI)과 첨단 과학기술 발달 시대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내년에 시행되는 '돌봄통합지원법'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건강돌봄체계를 완성하겠다"며 "누구도 돌봄에서 소외되지 않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말하며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을 양성,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해 나가겠다"며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겠다"고 의료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가 발표한 의료 정책 공약은 '공공의료 강화', '의대 정원 합리화', '통합돌봄 체계 구축'으로 요약된다.
특히 이 후보는 '의대 정원 합리화'를 공약했다. 그는 "지난 의료 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야 한다"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했다. 또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에서 출발해, 인공지능(AI)과 첨단 과학기술 발달 시대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