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정치테마주의 변동성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 평균의 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는 투자유의안내를 발동하고 투자자 피해 사전 예방에 나섰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코스피 16.47%, 코스닥 24.12%) 대비 약 6배로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4년 12월부터 지난 4월 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으로 조치한 종목 중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60종목을 기준으로 산출한 주가 변동률이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정치테마주의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12월 이후 4월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115종목 중 52%인 60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기간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종목 중 56%인 34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했다.
문제는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우수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자산규모 및 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 위주인 데다가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종목이 상당수 차지했다.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코스피 3317억원, 코스닥시장 590억원으로 각 시장의 평균 매출인 2조2290억원, 1214억원 대비 크게 낮았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측면에서도 뒤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36억원(시장 평균 1506억원)·당기순손실은 10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454억원), 코스닥시장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5억원(시장 평균 51억원)·당기순손실은 5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6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의 경우 정치인과의 단순한 연결고리(출신학교·친인척·지인·지역 등)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정치뉴스나 여론조사 결과 또는 테마소멸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어 과열된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1대 대선기간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 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다. 또한 불공정거래신고센터를 통해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신고 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