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상무부 산하 대외무역총국(DGFT)은 전날부로 파키스탄산 상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DGFT는 "해당 조치는 국가안보와 공공질서 유지를 위한 결정"이라고 전했다.
인도 해운총국도 파키스탄 국적 선박의 인도 항만 입항과, 인도 선박의 파키스탄 항만 출입을 모두 금지했다. 인도 통신부 역시 파키스탄을 경유한 모든 우편·소포 교환을 중단한다고 공식화했다.
디지털 영역에서도 양국 간 단절이 이어지고 있다. 인도 정부는 지난달 말 '도발적 콘텐츠'를 유포했다며 파키스탄 유튜브 채널 12곳을 차단한 데 이어 최근에는 파키스탄 유명 인사들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대한 인도 내 접근도 차단했다. 접속 차단 대상에는 임란 칸 전 파키스탄 총리, 가수 아티프 아슬람, 배우 파와드 칸, 파리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아르샤드 나딤 등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포함돼 있다.
이후 인도는 파키스탄과 체결한 인더스강 조약 일부 효력을 중단하고, 자국 내 파키스탄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전면 취소했다. 인더스강 조약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1960년 체결한 수자원 협정이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설을 강하게 부인하며, 자국 영공에서 인도 항공기 운항을 금지하고 무역과 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하는 맞대응에 나섰다.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인도와 파키스탄의 실질통제선(LoC) 인근에서는 9일 연속 소규모 무력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