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이 5월 중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7일 출입기자단에 보낸 입장문을 통해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확인된다면 5월 중이라도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통상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한 번씩 모집하지만, 희망자에 한해 하반기 모집 전에 돌아올 수 있게 추가 모집을 하겠다는 것이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했고 상반기 모집 이후 전국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는 의정 갈등 이전의 12.4% 수준인 1672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전공의들은 수련 공백 기간이 3개월이 넘으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기 때문에 고연차들이 내년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선 5월 내에는 복귀해야 한다.
복지부는 더 이상 추가모집이나 특례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지만, 최근 고연차 전공의를 중심으로 복귀 희망 의견이 표출되면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지난 4일 개시한 '5월 복귀 의향' 설문에선 이날 중간 집계 결과 100여 명이 참여해 80% 정도 복귀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전공의들을 향해 "수련환경 개선 등 현안에 대해 당사자인 전공의들이 의견을 적극 개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7일 출입기자단에 보낸 입장문을 통해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확인된다면 5월 중이라도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통상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한 번씩 모집하지만, 희망자에 한해 하반기 모집 전에 돌아올 수 있게 추가 모집을 하겠다는 것이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했고 상반기 모집 이후 전국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는 의정 갈등 이전의 12.4% 수준인 1672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복지부는 더 이상 추가모집이나 특례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지만, 최근 고연차 전공의를 중심으로 복귀 희망 의견이 표출되면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지난 4일 개시한 '5월 복귀 의향' 설문에선 이날 중간 집계 결과 100여 명이 참여해 80% 정도 복귀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관은 전공의들을 향해 "수련환경 개선 등 현안에 대해 당사자인 전공의들이 의견을 적극 개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