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 전략 세미나] "트럼프발 위기 국익 신장 위한 기회로"

  • 아주경제, '글로벌 외교안보 전략 세미나' 개최

  • "진영 대결 구도 고착화…실용 외교 정책 중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글로벌 외교안보 전략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순수 신한대학교 국제대학 특임교수現 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엄효식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총장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임규진 아주경제 사장 김건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준형 조국혁신당 국회의원 유용원 국민의힘 국회의원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객원연구원 20250512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1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글로벌 외교안보 전략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순수 신한대 국제대학 특임교수(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엄효식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총장,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임규진 아주경제 사장, 김건 국민의힘 의원,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객원연구원. 2025.05.12[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한 이후 외교·안보·통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문가들은 국익을 우선으로 능동적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안보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현재 맞닥뜨린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12일 박지원 더불어민주당·김건 국민의힘·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과 아주경제는 공동으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한국의 대응 방안은'이란 주제로 '글로벌 외교안보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미·중 갈등이 지속될수록 중국과 러시아에 북한의 전략적 가치는 더 높아질 것이고, 진영 대결 구도는 고착될 것”이라며 강대국 중심의 외교가 아닌 국익을 중심으로 한 실용 외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한국이 핵무장이나 전술핵 배치 등을 주장할수록 트럼프 행정부와 동맹을 강화하는 것에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 우리가 확장 억제에 중점을 두고 더 제도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미국발 급변하는 국제 정세…새 정부가 나아갈 길'이란 토론회에서도 전문가들은 강대국에 편승한 정책을 벗어나 스스로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재준 한국국방연구원(KIDA)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강대국 중심의 외교 정책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개방적 네트워크 중심 외교 정책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객원연구원은 "우리 중심으로 한·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며 "호혜적 동맹 관계로 발전시켜 국익을 신장·확대하는 기회 요인으로 바꿔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순수 신한대 국제대학 특임교수(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는 "안보를 지킬 능력부터 갖춰야 한다"며 "단순한 평화 선언이 아니라 군사적 기반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통일학연구소장)는 국익을 위한 러·중·일·북과의 관계를 언급하면서 "북한을 통제하기 위한 러시아와의 협력을 새 정부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