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제안한 우크라이나와의 이스탄불 평화 협상에 직접 참여하는지에 대해 크렘린궁은 13일(현지시간) “아직 발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는 계속 협상 준비 중”이라며 구체적인 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이어 “아직은 그 이상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협상에서 누가 러시아를 대표하느냐는 질문에 페스코프 대변인은 “대통령이 (대표를 발표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할 때 즉시 발표할 것”이라고 답했다.
푸틴 대통령은 오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하겠다고 지난 11일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중동을 순방 중인 가운데 중동에서 가까운 튀르키예를 전격 방문해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3개국 정상회담이 열릴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담당 특사와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 담당 특사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회담에 대비해 이스탄불로 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스탄불 협상에 참여하는 러시아 대표단 구성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러시아는 15일 이스탄불에 도착해 우크라이나 측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협상을) 예측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이어 “그들의 입장은 협상 불능이라는 말로 가장 잘 설명된다는 확고한 인상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진지하고 책임감 있게 협상할 준비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와 미국의 양자 회담도 계획돼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합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양국 대사관 운영 정상화에 대한 차기 협상은 기존 합의들이 어떻게 이행되느냐에 따라 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러시아가 ‘조건 없는 30일 휴전’을 수용하지 않으면 금융 서비스와 석유·가스 부문에서 러시아에 추가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며칠 내로 미국과 협조해 추가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날 “매월 5만~6만명의 러시아 젊은이들이 자원입대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가 젊은이들을 강제 징집하는 것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기업 단체와 만나 “우크라이나는 강제 동원령을 수용해 거리에서 사람들을 잡아가고 있지만, 러시아는 자발적으로 군에 입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에도 한 해 43만명이 자원 입대했다고 밝혔다. 앞서 2022년 9월 30만명 규모의 동원령에 대한 여론 반발 이후 러시아는 자원병 중심의 병력 확충에 주력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