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지자체 시민안전보험은 440여 건에 달한다. 서울은 각 지역구별로 평균 4건 정도 보험에 가입돼 있으며 전체적으로 약 100건이 운영되고 있다.
지자체 시민안전보험은 해당 지역에 주민등록만 돼 있으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 가입되며 보험료는 전액 지자체 예산으로 부담한다.
최근에는 지자체에서 안전 보험 보장 범위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서울시는 재난 피해 중심이던 보장 항목에 더해 올해부터 '기후동행카드' 이용자가 대중 교통 이용 시 사고가 났을 때 무료 보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따릉이 보험도 존재한다. 전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벌 쏘임이나 농작업 사고처럼 지역 특성에 맞춘 보장 항목도 도입했다. 경기도는 지난 5월부터 전국 최초로 기후보험을 시행 중이다.
보험 보장의 질도 높아졌다. 과거에는 지자체 안전보험이 단순 사고 위주로 운영되면서 가격 경쟁이 우선시되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보장 항목이 폭염, 감염병, 농작업 재해 등으로 확대되면서 보험 성격도 복지 중심의 공공보험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입찰 평가 기준도 '무조건 낮은 가격'보다는 서비스 품질과 실행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지자체 안전보험은 단가가 낮지만 손해율도 매우 낮은 편이어서 민간 사업자들도 관심이 높은 영역"이라며 "특히 최저가 입찰이 아닌 방식에서는 민간 보험사들의 다양한 보장 설계가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