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 중인 수도권 내 아파트 단지의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규제 완화가 답보를 걷는 사이 분담금 등 사업에 대한 재정적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경기 군포시 금정동의 리모델링 추진 단지인 ‘율곡주공3단지’는 리모델링 사업 추진을 둘러싸고 주민 간 잡음이 커지고 있다.
리모델링 사업 시 분담금이 최대 4억7000만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면서 사업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주민들이 많아져서다. 현재 해당 단지의 전용면적 51㎡ 매물 평균 거래가격이 약 3억4600만원임을 감안하면 추정 분담금이 매매가격보다 더욱 높다.
금정동 A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분담금을 고려하면 21평대 투자금이 7억원 이상일 텐데 평수가 23평대로 소폭 넓어져도 현재 인근 동일 평형 대장 아파트 가격이 7억원 수준”이라며 “사실상 사업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한 일부 주민들이 리모델링 추진 전 물건을 내놓는 경우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해당 단지 전용 59㎡(28평형) 매물은 지난해 9월 4억4800만원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으나 지난달에는 이보다 3000만원가량 낮은 4억2000만원 초반대에 손바뀜됐다.
권리변동계획안에 대한 90% 이상의 동의율을 얻은 산본동 ‘개나리주공13단지’ 역시 리모델링 추진 시 분담금이 가구 당 3억~4억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면서 주민 이견이 커지고 있다. 분담금 부담에 민감한 소형평수 매물을 중심으로 실거래 가격과 호가가 모두 하락 중이다.
부동산R114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발표 이후 기간별 아파트 매매가격 누적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 경기 평촌은 2.7%, 분당이 2.6% 상승한 반면, 일산(-1.4%), 산본(-1.4%) 등은 오히려 가격이 하락했다.
지난 ‘8.8 부동산 대책’에 이어 최근 용적률 상향 등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 완화 시그널이 이어지며 사업성이 좋은 서울에서도 리모델링 대신 재건축 선회를 검토하는 단지가 늘고 있다. 서울 성동구 ‘응봉대림1차’는 지난달 재건축 추진위원회가 리모델링 조합 해산을 위한 합의를 마무리 짓고,재건축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준비 작업에 나서기로 했고, 강남구 개포동 ‘성원대치2단지’ 역시 리모델링 조합 해산 등을 안건으로 한 임시총회를 이르면 9월 중순 열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