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은 최근 발간한 데이터 포커스 제2호 '산불의 관광소비 영향과 특징: 2025년 경북·경남 산불 분석'을 통해 지난 3월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관광소비에 미친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카드 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소비 변화를 추적한 이번 분석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경북·경남 8개 시군의 관광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광 의존도가 높은 청송군(-40.1%), 안동시(-34.9%), 영덕군(-33.4%)은 소비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주왕산 국립공원이 위치한 청송군의 경우 숙박업 소비가 무려 75.4% 급감하며 산불 피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관광 의존도가 낮은 영양군(-5.5%)과 의성군(-4.0%)은 비교적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산불 발생 이후에는 범정부 차원의 복구 지원과 자원봉사자 활동, 공공·민간기관의 워크숍 및 MICE 행사 유치 등이 이뤄지면서 일부 지역에서 관광소비가 반등했다. 4월 둘째 주(4.7~4.13) 기준으로 안동시와 영덕군의 숙박업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4.0%, 107.1%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관광소비는 5월 초 연휴 기간(4.28~5.4)을 기점으로 전반적인 반등 흐름을 보였고, 산불 발생 약 10주 후인 6월 초부터는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러한 회복 흐름이 7~8월 여름 성수기를 통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분석은 재난 피해 규모가 단순한 산불의 크기나 면적보다는 해당 지역의 관광지 입지, 산업 구조, 관광객 유입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재난 직후 자원봉사자 유입, 공공행사 및 MICE 개최 등 체류형 수요의 조기 유도가 관광소비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SNS, 유튜브, 포털, 여행 플랫폼 등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캠페인, 온·오프라인 연계 마케팅, 여행 할인 프로모션, 지역 특화 관광상품 개발 등 다층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김상태 차석전문원은 “재난 이후 관광소비는 급감–점진적 반등–회복기라는 단계를 거친다”며 “각 단계에 맞춘 체계적인 대응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세원 원장 역시 “산불과 같은 재난으로 인한 관광소비 위축을 최소화하고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구가 향후 재난 대응 관광정책 수립에 실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데이터 포커스 제2호 '산불의 관광소비 영향과 특징: 2025년 경북·경남 산불 분석' 전문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