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2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조·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라는 제목의 담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부부장은 비핵화를 위한 북한과 대화에 열린 입장이라는 백악관 당국자의 발언을 언급하며 "지금 2025년은 2018년이나 2019년이 아니라는 데 대해서는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 국가 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실현 목적과 한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엄연한 사실에 대한 인정은 앞으로의 모든 것을 예측하고 사고해 보는 데서 전제로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강세한 핵억제력의 존재와 더불어 성립되고 전체 조선인민의 총의에 의해 최고법으로 고착된 우리 국가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또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며 그렇다면 그러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담화는 김 부부장이 전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공식 입장을 낸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북한은 담화를 통해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미국이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면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