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도중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라는 청구서를 다시 들이밀면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고심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알래스카 LNG 투자와 관련해 실무적으로 논의된 것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해 프루도베이·포인트톰슨 석유가스전에서 앵커리지 근교 반(半)부동항 니키스키까지 약 1300㎞ 거리에 LNG 수송용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생산한 LNG를 미국 내수 또는 한국·일본 등으로 수출하는 게 핵심이다.
앞서 6월 산업통상자원부,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단은 알래스카 에너지 콘퍼런스에 참석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핵심 지역인 프루도베이와 포인트톰슨 일대를 둘러보고 알래스카 주정부와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 등에서 관련 계획을 청취한 바 있다.
석학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엑손모빌 등 메이저 정유사마저 수익성을 이유로 알래스카 LNG 개발을 포기한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자본을 동원해 핵심 지지층이 밀집한 알래스카 개발에 나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천연가스가 프루도베이에 40조 세제곱피트(ft³), 포인트톰슨에 35조 ft³ 매장된 것으로 분석되는 만큼 부존량은 우수하다. 중동·호주를 대체할 LNG 핵심 공급망을 확보하는 이점도 있다.
반면 영구동토에 약 1300㎞에 이르는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LNG 터미널 등을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약 450억 달러(약 63조원) 중 상당 부분을 한국 정부와 기업이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알래스카 LNG 한국 도착단가가 다른 LNG 수입단가보다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국내에서 LNG를 직수입하는 주요 민간사업자인 SK이노베이션 E&S와 GS에너지 등이 해당 사업 참여에 소극적인 이유다.
만약 이재명 정부가 알래스카 LNG 참여를 결정한다면 민관 합동 컨소시엄 형태가 유력하다. 공기업인 한국석유공사와 민간기업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을 필두로 LNG 핵심 수요자인 발전 공기업 등이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다. LNG 수송 시 필요한 강관과 밸브, 운송선 등을 만드는 세아제강·동국제강과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 등이 참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