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내년 예산 1조원...우주산업 기반 다진다

  • 2025년 대비 15% 증액한 총 1조1131억원 편성

  • 발사체 체계 개발 사업 예산 14.9% 감소…차세대 발사체 사업계획 변경 때문

우주항공청 사진우주청
우주항공청. [사진=우주청]

오는 2026년 출범 3주년을 맞을 우주항공청(우주청)이 1조원이 넘는 규모의 정부 예산안을 편성했다. 새 정부 국정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K-우주항공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1일 우주청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올해 9649억 대비 15% 증액한 총 1조1131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우주청은 이를 기반으로 △우주수송 역량 강화 및 신기술 확보 △위성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탐사를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미래 항공기술 선점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인재 양성 및 외교 등 분야에 투자한다. 

우선 우주청은 내년 누리호 5차 발사로 발사체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저비용고빈도 발사' 역량 확보를 위해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착수한다. 궤도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궤도수송선 개발, 실증 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발사체 체계개발사업 예산은 2025년 3106억원에서 2026년 2642억원으로 14.9% 감액됐다. 이는 누리호 관련 예산 자연 감소와 차세대 발사체 사업계획 변경 절차 등에 따른 감액이라는 설명이다. 신규사업으로 궤도수송선 비행모델 개발과 실증 연구개발(R&D) 예산 30억원도 반영됐다. 

위성관측 기술 확보를 위해 10cm급 초고해상도 위성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규 예산 62억원을 편성했다. 

오는 2030년 위성발사를 목표로 한 6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전년 대비 40억원 증액한 예산 153억원을 수립했다. 

오는 2029년 1호 위성 발사체 계획을 갖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도 지속한다.  

우주청은 우주탐사 분야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78.2% 늘은 968억원을 책정했다. 

우주탐사 연구 달탐사 2단계(달착륙선)' 사업 R&D와 국내 산업체 역량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으로 359억원 늘은 809억원을 배정했다. 

미래비행기(AAV), 민항기 엔진 핵심 기술, 초경량·고강도 소재를 신규 개발하고, 성층권 드론 실증을 착수하기 위해 정부는 2026년 예산 511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2025년보다 36.8% 늘어난 규모다. 

민간 중심 생태계 조성을 위한 뉴스페이스 펀드 투자 지원을 25년 대비 965억원 증액한 1000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우주항공 산업과 연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양성·활용 사업을 확대한다. 신흥국 협력 수요와 국내 우주항공 기업 핵심 역량을 연계해 수출 기회를 넓히고 신시장을 개척하는 국제협력 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올해 대비 8.6% 늘은 2549억원을 책정했다. 

윤영빈 우주청 청장은 "2026년 정부 예산안은 우주항공청 개청이후 전략기술로 도출한 우주수송 역량 강화, 초고해상도 위성 개발 및 미래 항공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들을 최초로 편성했다"며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 성실하게 임해 새정부 국정과제 이행과 우주항공 강국 도약을 위한 예산이 최종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