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금융지주가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위해 600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재명 정부의 정책에 발맞추기 위한 행보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들은 갑작스레 대규모 자금을 조성해야 하는 한편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안정적이던 건전성 관리에도 비상이 걸리게 됐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KB·신한금융은 2030년까지 5년간 생산적·포용금융에 110조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KB금융은 생산적 금융과 포용금융에 93조원과 17조원을, 신한금융은 생산적 금융에 93조~98조원, 포용금융에 12조~17조원을 공급한다.
이로써 주요 금융지주가 현재까지 생산적·포용금융에 투입하겠다고 발표한 금액만 총 574조원에 달한다. 아직 자금 규모를 검토 중인 JB금융을 더하면 600조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9월 말 우리금융(80조원)을 시작으로 △하나금융 100조원 △NH농협금융 108조원 △iM금융 45조원 △BNK금융 21조원 등 금융지주는 하나둘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지주가 앞다퉈 생산적·포용금융 계획을 내놓은 건 이재명 정부의 주요 금융 정책이기 때문이다. 정부 출범 초기인 만큼 현 정부의 눈 밖에 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정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이러한 생산적·포용금융 계획을 추진하는 데 있어 핵심 관건은 단연 자금 조달과 건전성 관리다. 특히 시장에 대규모 투자 수요가 한꺼번에 쏟아진 만큼 금융지주는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실제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담당 부서에선 돈을 모으기 힘들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 증권, 캐피털 등 주요 계열사도 자금 조성에 활발히 참여할 예정인데 외부에서 자금 유치가 쉽지 않으면 이처럼 계열사 역할에도 부담이 더해질 수밖에 없다. 주요 방식은 민간기금·펀드 등의 출자나 복합 투융자 형태가 거론된다.
생산적 금융 전환에 따른 건전성 악화 가능성 역시 우려를 사고 있다. 내년부터 금융당국이 생산적 금융 전환을 지원하고자 대출의 위험가중치(RW)를 조정한다고 하지만 담보가 확실한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 벤처투자 등을 늘리는 데 따른 리스크는 여전하기 때문이다. 회계상 건전성 지표가 나쁘지 않다고 해도 부실화에 따른 대출 회수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의미다.
이미 4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의 연체는 역대급이다. 올해 9월 말 요주의여신(1~3개월 연체)은 총 18조3490억원으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다. 연체가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역시 9조2682억원에 달한다. 1년 전보다 1조4031억원 급증한 수치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 눈치를 보며 큰 틀에서 생산적·포용금융 5개년 계획을 먼저 세워 놓고, 그다음 돈을 어떻게 끌어올지 고민하고 있다”며 “돈을 조달하는 방식은 복합적인데, 갑자기 시장 참여자가 많아져 실제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