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일령' 발령… 국내 항공사 가뭄속 단비 될까

  • 중국·일본 갈등 심화로 지리적 중간인 한국이 '여행 수혜지'로 부상 전망…지난달 중국 노선 이용객 23% 증가

  • 일본 노선 경쟁 심화했던 LCC 관광객 흡수 가능성↑

인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탑승 .[사진=아주경제DB]
인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탑승 .[사진=아주경제DB]
중국의 '한일령(限日令·일본과의 관계 제한 조치)'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항공업계가 반사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외교 갈등이 발생할 때마다 지리적 대체 여행지로 평가돼왔다. 특히 최근 무비자 입국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항공업계도 중국 노선 다각화 등 중국 여객 수요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23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이달 초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유사시 집단 자위권을 행사해 대만을 지원할 수 있다"고 밝힌 이후 중국에서 일본 대중 문화 소비를 자제하는 한일령이 확산하고 있다. 중국 SNS에서는 "일본 여행 취소" 인증을 남기며 한일령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중국은 일본의 최대 방문객이었다. 일본 관광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일본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비중은 전체의 25%로 이들이 소비한 금액은 1조6443억엔(약 15조4000억원)에 달한다.

국내 항공업계에서는 중국 관광객들이 단거리 여행지로 일본 대신 한국을 택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9월 말 중국인 관광객에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중국발 관광 수요 회복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실제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행 중국 노선 이용객은 153만명으로 전년 대비 22.4% 증가했다. 이는 전체 이용객 824만 명 중 18.6%로, 일본(28.9%)에 이어 두 번째로 비중이 높다. 이달부터 중국 여행객의 일본 회피 심리가 본격화함에 따라 한국을 찾는 중국인 여행객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일령이 장기화될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FSC(종합서비스항공사)가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두 항공사의 중국 노선 점유율은 34% 정도다. 올해 10월까지 중국 노선 이용객은 1408만명으로 코로나 이전 2019년 (1538만명)에 근접한 만큼 추가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LCC도 반등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일본 노선 과다 경쟁으로 낮아진 수익성을 중국 노선으로 만회한다는 전략이다. 제주항공·티웨이항공·진에어 등은 중국 노선 신규 취항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항공이 취항한 8개 중국 노선의 이용객은 49만5000여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해 중국발 회복 효과를 체감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일 갈등은 한국행 여행 수요가 구조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키운다"면서 "단기적으로는 한일령 특수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업체 간 과열 경쟁으로 인한 운임비 하향은 여전히 리스크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선 추가 확보와 운임 조정이 적절히 이뤄져야 실적 개선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