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중ㆍ러 몰빵펀드 수익률 최악

손실 급증에도 중국 투자비중 늘려
"신흥국 기복 심해 분산투자 유리"

특정국가에 몰빵 투자한 해외주식형펀드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손실이 급증하면서 미래에셋 중국ㆍ러시아펀드 수익률이 최악을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가 투자수익률이 기복이 심한 만큼 한 국가에만 투자하는 것보다 여러 국가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위험 수준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미래에셋은 국가별 투자규모에서 중국 비중을 오히려 늘리고 있다. 22일 미래에셋에 따르면 전체 투자국가 가운데 중국 비중은 6월말 61.05%에서 이달 21일 기준 6.47%포인트 늘어난 67.52%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이 자생력을 바탕으로 세계경제를 이끌 수 있는 대안이란 소신에 변함이 없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펀드정보업체 제로인은 연초부터 이달 21일까지 설정액 10억원과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해외주식형펀드 774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중국펀드와 러시아펀드 평균손실이 각각 -52.98%와 -69.66%에 달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펀드 가운데 '미래에셋차이나인프라섹터주식형자(클래스-A)'와 '하나UBS차이나주식자1 클래스C'가 각각 -68.21%와 -59.98%로 손실이 가장 컸다.

러시아펀드에서는 'JP모건러시아주식종류형자1A'와 '미래에셋러시아업종대표주식형자1(클래스-A)'가 -75.07%와 -72.65% 손실을 냈다.

이에 비해 해외주식형펀드 전체 평균수익률은 -49.52%로 개별국가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중국, 러시아, 브라질, 인도 4개국에 투자하는 브릭스펀드로 주로 이뤄진 신흥국주식펀드 평균수익률도 -48.78%였다.

이들 펀드의 표준편차를 산출해보면 해외주식형펀드 전체는 각각 36.94인데 비해 러시아와 브라질은 62.35와 57.84이며 중국과 인도는 각각 44.25와 38.60이다.

표준편차는 수익률 총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낮은 것이 변동성이 작아 더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동일유형 펀드 가운데는 표준편차가 낮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로인 이수진 연구원은 "기복이 심한 신흥국 시장에 투자할 때는 특정국가 집중투자는 피하고 복수국가에 분산투자해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장기적 투자에서 더욱 유리한 전략이다"고 말했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