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오바마 당선인이 전세계 주요국 정상들과의 전화통화로 국제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전화통화로 외교에 나선 가운데 인도만은 명단에서 제외해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 정상과도 통화하면서 싱 총리와의 통화를 외면한 것이 앞으로의 인도와의 관계에 후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조심으런 추측도 나오고 있다.
오바마 당선인은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캐나다, 호주 등 9개 주요국 정상들과 전화통화를 갖고 경제위기 대책을 포함한 국제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8일에는 중국 후진타오 국가주석은 물론 이집트, 스페인, 사우디아라비아, 폴란드, 이탈리아 정상들과도 전화로 교섭했고, 최근 미군의 월경 작전으로 관계가 악화한 파키스탄의 대통령과도 통화했다.
오바마 당선인은 전세계 주요국 또는 주요 현안을 안고 있는 나라의 지도자들과는 모두 전화통화를 했는데에도 불구하고 인도만은 예외였다.
PTI 통신은 10일 오바마 후보가 싱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다양한 이유가 있다며 이에 대한 민주당내 인사들의 반응을 전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만약 싱 총리가 축하 전화를 걸었다면 오바마 당선인이 다시 전화를 걸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싱 총리가 당선인에게 전화를 걸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확대해석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한 인사는 "당선인이 인도에 전화를 하지 않은 데 적잖이 놀랐다. 왜 그랬는지 지유를 모르겠다"며 의아해했다.
인도의 한 고위 관리는 일간 타임스 오브 인디아에 "인도가 글로벌 위기에서 한발짝 벗어나 있다는 증거 아니냐. 미국의 관심권에 드느니 차라리 무관심권에 머무는 게 낫지 않느냐"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랄리트 만싱 전(前) 주미 인도대사는 "인도는 대국이며 국제사회에서의 역할도 크다. 전화통화에 움츠러들지 않는다"며 "오바마는 자신의 페이스에 맞춰 일할 뿐"이라고 애써 무시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오바마 당선인이 인도와 전화통화를 하지 않은 이유가 후보 시절 피력했던 인도 관련 대외정책과 인도가 주도하는 아웃소싱 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산물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김나현 기자 gusskrl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