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설문조사] 내년 성장 ‘빨간불’..“내년 경제성장률 3%이하” 52%

국내 경기 부진 체감수준 생각보다 심각
“정부 적절한 정책지원 선행돼야”

내년 한국 경제가 예측 기관의 전망대로 움직일지 여부는 속단하기 어렵다.

글로벌 신용경색이 극복될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고 신용경색이 실물로 파급되는 데 따른 경기침체의 깊이와 지속기간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가 이런 외풍을 어느 정도 견뎌낼지도 속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14일 본지가 정·재계 인사 300인을 대상으로 ‘내년 대한민국 경제전망’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 응답자 중 75%가 경기회복 시기를 2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중 경기회복에 3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30%에 달했다. 반면 1~2년 내 회복할 것이라고 응답한 이는 전체 25%에 불과했다. 1년 이내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전무했다.

내년 경제성장률도 응답자들은 대부분 최저치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응답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기업 관계자(100명) 중 과반수가 넘는 52%가 내년 경제성장률을 3% 이하로 내다봤다. 반면 4%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응답자는 불과 2%에 불과했다.

금융권의 경우 부정적 인식이 더욱 심하다. 은행, 보험, 증권사 임원 100명 중 약 56%가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을 3% 이하로 예상한 것이다. 3%대를 예상한 응답자는 45%며, 4% 이상 성장률을 예측한 응답자는 겨우 1%였다.

IMF가 3.5%, 한국개발연구원(KDI)이 3.3%의 경제성장률을 예측한 것을 감안하면 이와 같은 수치는 실무자들이 체감하는 국내 경기 부진이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임을 말해준다.

이 같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응답자들은 정부의 적절한 정책지원이 선행돼야 함을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 지원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전체 응답자의 84%가 정부의 재정확대, 감세정책 확대 등을 주장했다. 84% 중 재정지원 확대는 57%에 달했으며 감세정책 확대의 경우 37%의 비율을 보였다.

이밖에 현 정부의 경제위기 대처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보는 의견은 과반수를 상회했다. 이명박 정부가 경제위기에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 72%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한 반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는 15%에 불과했다.
안광석기자 novus@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