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의학원 이재선 박사 |
한국원자력의학원 이재선 박사팀은 3일 암세포의 노화를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물질을 개발, 세계적인 암 전문학술지인 ‘Cancer Research’ 1일자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최근 암세포 노화 현상이 규명되면서 이를 암 치료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됐으나 암세포의 노화 여부를 판별하는 물질인 표지자(노화 여부를 판별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없어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 박사팀은 방사선 조사나 항암제 처리가 된 암세포의 세포 증식 및 세포 사멸 분석과 표지자 발현 분석 실험을 통해 유방암, 폐암, 대장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노화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노화 표지자 카텝신 D와 eEF1을 발굴했다.
이를 통해 표지자의 발현 정도에 따라 노화세포, 사멸세포, 일시적 세포주기 정지 세포의 상태로 구분이 가능하며 암 세포의 최종운명도 예측할 수 있다. 이 두 물질은 ‘암세포 노화 표지자’로 미국에 특허 출원됐다.
기존의 방사선치료나 항암치료가 암세포의 파괴나 사멸에 치료 목표를 둔 반면, 이번 연구결과는 암세포의 노화를 통한 증식 중단으로 치료 목표를 수정할 수 있어 훨씬 적은 양의 방사선이나 항암제를 통한 암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박사는 “암세포 노화 표지자는 암세포의 악성여부를 판별하는 진단 기능과 함께 방사선치료나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예후예측 기능을 한다”며 “암종에 따라 환자에게 맞는 최적치료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소영 기자 yout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