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장은 2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주최 수요정책포험에서 "정통부와 같은 조직이 부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옛 방송위원회를 고려해 방통위가 중립 기관으로 만들어졌다"며 "이렇게 만들어진 합의제 조직에서 옛 정통부의 정책을 다루는 것은 맞지 않다"며 "방통위도 이러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또 "방통위 부위원장은 상임위원 중에서 돌아가면서 해야 하는데 야당 측 위원이 부위원장이 되면 행정 회의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며 "이에 따라 하나의 부처로서 통일된 의견이 만들어 지지 않고 상임위원이 임기제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의 승진 희망도 사라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내부에서는 이 회장이 정통부 장관을 역임했지만 현 통신사 CEO로서 방통위에 대해 공개적인 비판을 한 것은 부절적하다는 반응이다.
한편 KT는 이날 해명서를 통해 "이 회장이 정통부의 부활 필요성을 묻는 청중의 질문에 대해 합의제 기관이라는 기관 성격상의 어려움에 대해 의견을 표명했을 뿐 방통위 구조를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민 기자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