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6월 수출입 동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액정 디바이스 제품의 수출은 지난 3월부터 수출이 증가세로 반전되기 시작해 6월에는 증가율이 29.2%로 급상승했다.
휴대전화 등 무선통신기기의 6월 수출은 아직 작년 동기대비 감소세를 보였지만 감소율이 8.4%로, 상반기 전체 감소율(13.7%)에 견줘보면 감소율이 크게 둔화됐다.
상반기 수출 감소율이 18.9%에 달했던 철강제품 역시 각국의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과 중동지역의 건설 및 플랜트 수주에 힘입어 6월만 보면 감소율이 5.8%로 줄어들었다.
농림수산물 수출도 엔고에 힘입은 대(對)일본 수출 증대에 힘입어 6월에는 작년 동기 대비 3.7% 늘어났다.
그러나 이들 품목의 호조와 달리, 자동차는 6월에도 수출 감소율이 37.9%에 달했고 반도체와 기계류 역시 감소율이 각각 23.0%, 27.9%로 아직 뚜렷한 회복기미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최대 수출효자 품목인 선박은 6월 수출이 52억 달러로 월 기준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70억 달러가 넘는 대규모 무역흑자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6월 수출은 선박 수출호조와 각국 경기부양책의 영향 본격화로 휴대전화,LCD 등 일부 주력 수출품이 선전하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으나 자동차와 기계류는 여전히 불황 여파로 높은 수출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아울러 상반기 감소율이 34.5%에 이른 수입부문과 관련, "수출용 자본재 수입 감소율은 둔화되고 있으나 설비투자 감소는 향후 우리 제품의 경쟁력 유지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