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스와프 끝나도 영향 전혀 없다"

신재윤 차관보, 외화 유동성 위기 '제로'...현재 외환보유고 충분

기획재정부는 17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한국과 통화스와프 연장을 하지 않더라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국내에 공급됐던 한미 통화스와프 잔액도 이날 정부가 모두 회수했다.

신제윤 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은 "미국이 볼 때 전세계 자금 흐름상 유동성 위기가 어느 정도 해결됐다는 판단 아래 그동안 가장 비정상적인 조치였던 통화스와프를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며 "이는 한국에서도 외환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신 차관보는 "통화스와프는 그동안 미국이 주요 국가들과 하다가 최근 위기 때 한국 등 신흥국도 끼게 됐으며 앞으로 위기가 닥칠 때 우리로서는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국내에 공급된 한미 통화스와프는 그동안 정부가 꾸준히 회수해왔으며 오늘 최종 잔액인 4억5000만달러도 회수됐다"며 "현재 외환보유고가 충분하고 외화 유동성 또한 풍부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다"고 전했다.

한국은행과 미 연준은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지난해 10월 한은이 미 연준에 원화를 맡기는 대신 300억달러까지 공급받을 수 있는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었다.

한일 및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도 영향받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각국과 맺은 통화스와프 가운데 미국과 맺은 통화스와프만 활용했을 뿐 한일 및 한중 통화스와프는 전혀 쓴 적이 없다"며 "이들 국가와 통화스와프 연장 건은 미국과 별개다"고 덧붙였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내년 2월 종료되며 한중 통화스와프는 3년 정도 시한이 남아있다.

신 차관보는 미국 달러를 싼 금리로 빌려 금리가 높은 신흥국 등에 투자하는 달러 캐리 문제와 관련, "자본은 물이 흐르듯이 들어오고 나가지만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런 변화에 대응할 실력이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내년 11월 개최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자본의 이동 변동성을 완화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주제로 다룰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한국과 같은 신흥국의 자본이동성 배제문제 △자본이동이 미약한 최빈국에 장기 개발금융을 제공하는 방안 △선진국의 금융규제 등을 내년 G20 정상회의에서 논의할 세 가지 '코리아 이니셔티브(Korea Initiative)'로 제시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