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 구축 본격화

   
 
KT는 9일 서울 우면동에 위치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업계 최초 에코노베이션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왼쪽부터 표현명 KT 사장, 김흥남 ETRI 원장, 김태양 앱개발자, 이석채 KT 회장, 최시중 방통위원장, 김희정 KISA 원장, 김진형 앱센터지원본부장, 석호익 KT 부회장.

(아주경제 김영민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와 이동통신사, 관련기관 등이 협력해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SMAC)' 구축에 본격 나섰다.

방통위는 9일 KTㆍSK텔레콤ㆍ통합LG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 앱센터지원본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등 13개 무선인터넷 핵심 사업자ㆍ기관과 SMAC 구축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이날 "스마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물론 관련 기업, 연구기관 등이 협력해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모바일 앱 개발 관련 인프라와 필수 지원들이 모바일 앱 개발자들에게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SMAC는 국내 스마트 모바일 응용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방통위는 SMAC를 통해 테스트베드, 개발공간, 교육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등 종합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취약한 앱 개발 환경을 개선하고, 부족한 무선인터넷 전문인력 양성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방통위와 KISA는 종합정보 제공체계를 구축해 오픈 API 및 소프트웨어 모듈 제공, 앱 개발인력 간 연계 서비스, 커뮤니티 지원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통사는 앱 개발자를 위한 교육시설, 시험장비, 교육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포털 및 연구기관은 오픈 API 및 소프트웨어 모듈 제공과 함께 기술 및 정책동향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대학 및 학원은 디자인ㆍ번역ㆍ기획ㆍ마케팅 인력을 지원하고, 관련 협회와 연합회는 앱 개발자와 디자이너, 번역가, 비즈니스 기획자 등의 상호간 연결 지원을 맡는다.

방통위는 앞으로 전문가들로 구성된 'SMAC 협의회'를 별도로 만들어 SMAC를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나갈 방침이다.

또 온라인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 지원 종합정보체계'를 통해 오픈 API, 소프트웨어 모듈, 전문가 풀(POOL) 등을 확대하고, 기술과 정책 동향정보 등의 고도화를 추진한다.

오프라인 센터에서는 현재 KT의 에코노베이션, SK텔레콤의 T아카데미, KISA 아카데미에 SMAC를 구축했고, 연내 수도권에 2~3개소를 추가 구축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단계별로 서울시 등 지자체ㆍ대학ㆍ사업자 등과 연계해 지역 거점센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KT는 이날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위치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최시중 방통위원장, 김희정 KISA 원장, 김흥남 ETRI 원장 등과 이석채 회장 등 내부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방형 모바일 앱 지원센터인 '에코노베이션 제1센터'의 개관식을 가졌다.
 
이 센터는 100여평의 공간에 개발자 작업ㆍ세미나ㆍ교육 공간,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공간, 자료실, 휴게실 등으로 구성돼 있다.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