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19일 "글로벌 금융규제 개편과 관련해 국내 은행들도 긴장하고 미리 대비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젤위원회 회의 직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새로운 규제 개편안은 자본 비율은 물론 레버리지 비율, 파생상품까지 아우르는 통합적인 규제가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강화되는 금융규제를 기존 바젤∥의 연장선상으로 보는 것은 곤란하다"며 "국내 은행들의 자본비율이 안정돼 있고 이행기간도 남아 있다고 해서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세계 유수의 은행들은 이미 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한 증자에 나섰다"며 "국내 은행들도 보유 중인 하이브리드채권과 후순위채권 등을 롤오버(차환)하는 등의 대비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규제가 강화될 경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만큼 은행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새로운 수익원도 지속적으로 창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새로운 규제 환경 조성은 국내 은행이 글로벌 은행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며 "특히 국내 은행들은 자본과 레버리지 비율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원장은 바젤위원회가 추진 중인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회사(SIFI)' 규제 강화와 관련 국내 은행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SIFI 지정 기준이 확정되지 않아 국내 은행이 대상이 될지 여부는 확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그는 "다만 우리금융지주 등 국내 대형 은행의 자산 규모가 세계 10위권 은행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은행 간 합병이 이뤄져도 50위 내에 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금융지주를 포함한) 은행 간의 합병 작업이 SIFI 규제에 역행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