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상하이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7월 2300선까지 빠져 연내 최저점을 찍었다가 9월 말부터 가파르게 올라 11월 3100선을 넘기도 했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위안화 절상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중국 자산 가치가 높아지자 해외 자금이 유입돼 유동성이 풍부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가가 오르고 중국 정부의 ‘유동성 잡기’ 움직임이 보이면서 긴축정책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지수는 다시 내림세를 보였고, 약 1주일 만에 12%가 넘는 2800선까지 떨어졌다.
오는 11일 발표되는 주요 경제지표 가운데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내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돼 지수는 여전히 보합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CPI 발표 전에 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다는 심리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 자체를 과거보다 긴축할 것으로 보고 증시 역시 당분간 큰 폭으로 반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3일 후진타오 국가주석 주재로 열린 공산당 중앙정치국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기존의 느슨했던 통화정책을 ‘신중한’ 상태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원 “공식적으로 통화정책이 과거 대비 긴축 방향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내년 대출 규모를 축소하는 등 긴축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11월 물가 증가율이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여 소비 관련주에 영향이 있을 전망이고, 대출 악재는 투자 관련주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에 대한 우려가 지수에 이미 많이 반영되긴 했지만 투자심리는 여전히 얼어붙어 있기 때문에 지수가 오름세를 보이더라도 큰 폭으로 반등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용묵 키움증권 연구원은 “과거 경험으로 미뤄보면 금리를 인상해도 중국 증시는 오히려 리스크 해소 차원에서 오름세를 보였고, 내년부터 긴축이 강화된다고는 하지만 경고성 멘트에서 그칠 수 있다”면서도 “다만 부동산 세금 부과 등 억제 정책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증시에 대한 투자심리는 여전히 관망세를 유지할 수 있어 당분간 반등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