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단독>LH 사업구조조정안 29일 발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2-23 21: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7일 예정된 국토부 청와대 업무 보고에 내용 담겨<br/>-내년 임금 10% 임금 반납 등 내부 구조조정도 탄력

오는 28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법 국무회의 심의, 의결을 계기로 사업구조조정 대상지 확정 등 LH의 경영정상화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분당 LH 오리사옥 전경.

(아주경제 김영배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구조조정 대상지가 29일 윤곽을 드러낸다.

국토해양부가 오는 27일로 예정된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LH 경영정상화 방안을 보고하고,  지난 8일 국회를 통과한 LH법 개정안이 28일 국무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공포·시행되면 곧바로 LH를 통해 사업구조조정 대상지를 발표토록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LH의 경영정상화 작업도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23일 국토행양부와 LH 등에 따르면 27일 예정된 국토부 청와대 업무보고는 LH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방안과 관심을 끄는 사업구조조정 대상지 등도 포함됐다.

LH는 전국 414개 사업장 가운데 아직 보상에 착수하지 않은 13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 재조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다만 이번 보고에서는 특정사업장에서 사업을 접는다는 개념 보다는 내년에 반드시 해야 할 사업장 20~30곳을 공개하는 형식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38개 사업장을 △사업보류 및 해제 △시기조정 △단계별 추진 △규모 축소 △사업방식 변경 등으로 분류하기 보다는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사업장을 확정, 발표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이는 해당 지자체의 반발 등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LH 관계자는 “138개 사업지 가운데 사업조정 대상지가 60여 곳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며 “27일 업무보고에서도 구체적인 숫자는 보고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구조조정 대상지로 거론되고 있는 사업장은 파주 운정지구를 비롯해 오산 세교지구, 아산 탕정2단계와 성남 대장지구, 속초 노학지구, 충주 안림지구 등 60여 곳이다.

이에 앞서 LH는 경기도 화성시 향남2지구와 남양 뉴타운지구 U-시티 구축사업은 중단키로 했고, 위례신도시와 판교지구‘유비쿼터스 시티(U시티)’사업도 중단 또는 축소방침을 지자체에 통보한 바 있다.

하지만 LH의 재무상황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면서 구조조정 대상 사업장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

LH는 당초 채권 발행을 통해 23조원, 토지 등의 판매대금으로 21조3000억원 등 총 44조3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11월말 현재 채권발행은 8조4000억원, 판매자금은 11조2000억원으로 계획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부족한 자금 조달을 위해 토지수익연계채권 2조7600억원과 자산담보부증권(ABS) 2조1000억원을 발행했지만 역부족이다. 때문에 내년 사업비를 30조원 이하로 줄일 계획인 LH 입장에서 지금과 같은 자금조달 수준으로는 구조조정 사업장 대상을 더 늘릴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고통분담 차원의 내부 구조조정도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LH는 우선 내년도 임직원 임금의 10%를 반납해 비용을 줄일 계획이다.

양대 노조 가운데 하나인 옛 주공 노조가 이에 대해 이미 동의를 했고, 그동안 결정을 미뤄왔던 옛 토공 노조도 이날 저녁 중앙위원회를 열고 회사측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는 임직원 임금 10% 반납을 통해 약 300억원 가량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