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내역은 모두 금융감독당국에 보고돼 투자자에 공시됐다. 최대주주뿐 아니라 특수관계인인 임원 지분변동도 공시 사항이기 때문이다.
이 증권사는 장기성과급 제도를 도입하면서 임원별 실적에 따라 자사주를 상여금 대신 차등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주요 증권사도 이 제도를 채택한 만큼 A증권과 유사한 상여금 지급이 이어질 전망이다.
3년 단위로 임원 성과를 평가해 현금으로 보상해주는 것이 이 제도 골자다. 앞서 1년 단위로 부여했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을 대신해 도입됐다.
문제는 상여금으로 지급한 자사주 물량은 물론 실명도 공개된다는 것이다.
A증권은 전체 임원 41명 가운데 37명에게 자사주를 지급했다. 사장이나 전무, 상무가 아닌 최근 이사로 진급한 임원이 가장 많이 받았다.
이런 정보가 모두 알려지면서 직장 내 위화감도 커졌다는 지적이다.
사라지는 추세인 스톡옵션 역시 같은 이유로 논란이 된 바 있다. 상장법인에서 주로 활용돼 온 만큼 상장·비상장 계열사 임원 간 위화감이 컸다. 막대한 차익에 대한 논란도 잇따랐다.
주요 기업은 2005년을 전후로 스톡옵션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지급하는 것도 스톡옵션과 별반 다를 게 없어 보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사이트를 통해 지급 내역을 누구나 볼 수 있다. 시황변동에 따른 차익 발생도 가능하다.
물론 자사주 차등 지급으로 건전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증권가는 해외 금융시장에도 유사한 제도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앞서 스톡옵션에서도 논란이 됐던 부정적인 요소는 배제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