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확산 전략 발표…'2조원 시장' 잡아라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정부가 무선인식기술(RFID)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 창출에 나선다.

지식경제부는 9일 오후 과천청사에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α산업 육성전략’의 일환으로 ‘RFID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국내 RFID 시장은 2015년까지 약 4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2조원의 RFID 시장 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정부는 RFID가 소비자 시장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제약·주류·패션·자동차·가전·택배·식품 분야 등 7대 분야를 선정, 업종별 특성에 맞춘 확산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제약분야는 오는 2013년 단품단위 일련번호 표시제 의무화에 대응해 제약기업들이 약품단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도록 지원한다.

주류분야는 서울시 대상 국내 브랜드 양주에 RFID 태그 부착에 이어, 올해 6대 광역시에서 유통되는 양주에 대해서도 RFID 태그부착을 의무화 할 예정이다.

식품분야는 국민적 관심도가 높은 급식 식자재 유통이력 투명화를 위해 RFID를 활용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모바일 RFID 대중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세계 최초로 900과 13.56MHz 대역에서 동시에 활용 가능한 듀얼 리더칩을 개발하고 듀얼 칩이 탑재된 저가형 핸드폰 USIM 카드를 보급할 예정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13.56과 900MHz 대역의 RFID 기술이 활용 중이다.

대학, 극장, 놀이 공원, 쇼핑몰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대상으로 2015년까지 50개의 ‘스마트 RFID 존’을 지정, 위치찾기, 정보검색, 대금결재, 공연 예매, 영상물 시청 등의 서비스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RFID 확산의 가장 어려운 문제인 태그가격을 대폭으로 줄이기 위해 10원대 태그 양산을 목표로 원천 제조기술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정부는 RFID 프린팅기술 고도화, 신소재를 활용해 태그칩 및 안테나 제조, 태그의 대량·고속 생산을 위한 공정 및 조립 최적화 기술 개발을 돕고 기업이 RFID를 도입하는데 초기 설비투자에 느끼는 부담감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RFID 서비스 전문회사 설립을 검토할 계획이다.

안현호 지경부 제1차관은 “RFID가 알게 모르게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진정한 파괴력은 아직 시작도 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일상에서 RFID기술의 상용화를 실현하고 기업의 생산성 혁신을 가능케 해 향후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