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지난 23일 열린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세미나’에 참석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금융 인수전의 유효 경쟁 가능성에 대해 “유효 경쟁 정도가 아니라 과당 경쟁을 우려할 정도”라고 밝혔다.
또 우리금융 인수 의사를 밝힌 산은금융지주에 대해서는 “민간과 민간이 되겠다는 이가 공정하고 유효한 경쟁을 벌이는 것은 나쁘지 않다”며 국책은행의 인수전 참여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우리(정부)는 기본적으로 물건(우리금융)을 파는 사람으로 오픈된 마인드를 가질 필요가 있다”며 “시장의 파워를 믿고 시장의 결정 과정을 거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며 “시장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판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너무 예단하지 말고 선입견도 갖지 말고 시장에 맡겨 보자”며 “링에 오르기도 전에 누구는 안 된다고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산은의 우리금융 인수 불가 의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김 위원장은 “최소 입찰 기준을 30%로 한 것은 능력 있는 선수들만 모여서 해보자는 것”이라며 “과당 경쟁이 우려될 정도”라고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을 앞당기기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 전 시행령 개정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헤지펀드 도입을 위한 법 개정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며 “비상수단을 마련해서라도 더는 도입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통상 시행령 개정에 2~3개월, 인가에 2~3개월 가량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연내 한국형 헤지펀드 1호가 출범할 가능성이 높다.
김 위원장은 “모든 방면의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한국가요(K-POP)가 전 세계적인 열풍을 불러일으켰듯 국내 최고의 금융 인력들이 결집해 파워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헤지펀드”라며 “국내 현실에서 가장 필요한 금융수단”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