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업종별 대출관행 수술대 올라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 폭탄돌리기의 주범으로 지목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대출심사에 적극 반영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8개 은행, 2개 신용평가사로 구성된 여신관행 개선 태스크포스(TF)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기업금융 개선책을 강구하고 있다.

국민과 신한, 우리, 하나, 외환, 올협, 기업, 산업 등 TF에 참여한 8개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4월 말 기준 474조 8000억 원이다.

4월부터 가동된 TF는 기업대출 부문 대출이 특정 호황업종에 집중됐다 불황이 시작되면 급격히 줄어드는 경기순응성을 완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제조업과 도소매업, 건설업, 음식 및 숙박업 등 학국표준산업분류에 규정된 21개 업종별 대출관행을 개선키로 했다.

또 PF 사업의 자금 조달원으로 쓰이는 ABCP를 비롯해 회사채와 일반 기업어음 등 시장성부채를 많이 발행한 기업에 대해서는 대출이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부실 계열사 대상으로 한 일명 꼬리 자르기 논란으로 부각됐다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대기업 계열사에 대한 대출관행도 달라질 전망이다.

각급 은행은 대출 심사 점수를 매길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기업 계열이라는 점을 전면 배제하는데 합의했다.

크게 3개 부문으로 나뉜 대출관행 개선책은 내달 초 18개 국내 은행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세미나에서 구체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