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과서는 교과서와 참고서·사전·공책 등 기능을 한데 모은 것으로 컴퓨터(PC)·스마트패드·스마트TV 등 모든 정보기술(IT)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9일 이같은 내용의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체제’를 실현하는 방향을 담은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추진전략에 따르면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2015년까지 모든 학교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는 인터넷서버에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자료를 내려받아 사용하는 기술이다.
교육 자료가 사용자의 PC나 스마트폰, TV 등 개별 단말기가 아니라 대형 서버에 저장돼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종이 교과서가 사라지면 학생은 무거운 책가방에서, 학부모는 학습지와 참고서 별도 구입 부담에서 해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재 12.8%에 머물고 있는 학교 무선 인터넷망 보급률을 2015년까지 100%로 끌어올려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수준과 적성, 필요에 맞는 교과목을 온라인 수업으로 들을 수 있고, 각종 평가도 온라인을 통해 시행된다. 2015년까지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단계적으로 인터넷기반시험(IBT)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2조2281억50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선도 교육청에 스마트 교육을 실현할 `미래학교’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