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은 라식수술 등과 같은 근시교정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추적조사 등을 검증한 근거평가보고서 ‘근시교정술의 장기간 안전성과 안정성’에서 이 같이 발표했다.
보고서는 체계적 문헌고찰, 6개 대학·개인병원에서 2002~2004년에 근시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638명의 수술 후 안과 검진기록과 추적조사 등을 담고 있다.
근시교정술 후 3년간 관찰한 결과 라식 수술환자의 95.2%, 표면절제술 환자의 90.3%에서 나안시력이 0.5 이상 유지됐다.
라식(LASIK)은 각막에 얇은 뚜껑을 만들어 두고 각막을 절제해 시력을 교정한 뒤 다시 각막절편을 닫아주는 방법이다. 표면절제술에는 각막 상피만을 포함하는 얇은 각막절편을 만드는 방법인 라섹(LASEK)과 각막절편을 만들지 않는 PRK수술법 등이 속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정효과가 줄어드는 근시퇴행 현상은 라식과 표면절제술에서 각각 8%, 13.5% 발생했다.
각막혼탁, 재수술, 각막확장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했으나 대부분의 경우 시력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다만 약 20%에서 야간불편감 및 안구건조감이 수술 전에 비해 더 심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 책임자인 주천기 연구위원(가톨릭대 의대 안과 교수)은 “근시교정술은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하다”고 말하고 “근시의 정도나 안압, 각막두께 등에 따라 교정효과·안정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철저히 사전검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