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청문회 대결에 앞서 여야는 치열한 기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은 권 내정자가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사’여서 내년 총선.대선의 공정성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란 점을 부각시킬 방침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이 대통령의 인사권의 최대한 뒷받침하고 야당의 무차별 정치공세를 차단하겠다는 각오다.
우선 민주당은 권 내정자가 대구·경북(TK) 출신 회전문 인사라는 점을 집중 겨냥하면서 ‘정치적 공정성’을 검증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노영민 원내수석부대표는 17일 “민정수석이 법무장관에 지명된 것은 초유의 일”이라며 “자격 미달이라는 점을 알리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와 함께 권 내정자가 대검차장이던 2007년 11월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대선후보의 연루 의혹이 일었던 ‘BBK사건’ 수사발표를 지연시켰고, 지난해에는 민정수석으로서 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의 수사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제기할 방침이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국민 정서와 눈높이에 맞춰 면밀히 검증하되, 야당의 ‘묻지마식 폭로’ 등에 대해선 철저히 대응한다는 내부방침을 세웠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청와대 비서관 출신이 독립성을 지행해야할 감사원장, 검찰총장에 기용되는 것은 곤란하지만 정부부처 장관까지는 괜찮다는게 의원총회에서 나타난 의원 다수의 의견”이라며 민주당의 ‘측근인사’ 공세를 차단했다.
한나라당은 또 내년 선거관리 공정성 시비에 관해서는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때 여당 의원들이 법무장관에 기용돼 지방선거를 관리했던 전례들을 제시하며 민주당의 공세에 맞대응한다는 전략이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권 내정자의 민간인 불법사찰 개입이나 BBK수사 발표 지연 의혹 등에 대해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논란일 뿐”이라며 “펙트를 통한 문제제기가 아닌 민주당의 정치공세”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