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한주 중소형주식펀드 수익률은 2.23%(22일 기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일반주식펀드는 수익률은 0.33%에 그쳤다.
지난주 코스피 증가율 1.21%에 비해 코스닥지수는 4.90% 급등한 것이 반영됐다.
배당주식펀드와 코스피200 인덱스펀드 수익률은 각각 0.55%, 0.48%로 집계됐다.
중소형주나 코스닥시장에 투자하는 펀드 대부분이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했다.
주간 수익률 1위는 'KStar코스닥엘리트30상장지수(주식)'로 수익률 6.55%를 기록했다.
이어 '한국투자KINDEX코스닥스타상장지수(주식)' 수익률 6.26%, '미래에셋맵스TIGER코스닥프리미어상장지수(주식)' 수익률 5.74% 순이었다.
해외주식펀드는 한 주간 손실 0.52%를 기록하며 낙폭을 줄였다. 미국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을 발표했고 유럽 재정위기 해결에 대한 기대감으로 해외 증시가 개선될 기미를 보였기 때문이다.
북미 증시에 투자하는 펀드는 뉴욕증시 강세 영향으로 한 주간 수익률 0.79%를 보였다.
가장 저조한 성적은 브라질주식펀드였다. -1.91%이라는 손실률을 보이며 보베스파지수가 주중 22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이 원인이 됐다.
유럽주식펀드와 중국주식펀드 각각 -0.59%, -0.88% 손실을 기록했다. 인도주식펀드도-0.59% 손실을 기록했다.
가장 양호한 수익률은 일본관련 펀드가 기록했다. 일본주식펀드는 수익률 0.57%를 나타냈다.
수익률이 가장 높은 펀드는 '프랭클린내츄럴리소스자(주식-재간접)ClassA' 로 3.74%를 기록했고 '블랙록월드골드자(주식)(H)(A)'와 '블랙록월드에너지자(주식)(H)(A)'가 각각 2.88%, 2.83%로 뒤를 이었다.
한편 국내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는 수익을 내기는 했으나 규모는 미미했다.
하일드채권펀드가 1%에 못미치는 수익률 0.09%로 국내 채권펀드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채권펀드는 한 주간 수익률 0.04%를 기록했다. 우량채권펀드와 중기채권펀드도 수익률이 각각 0.03%, 0.05%로 낮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