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대표는 무상급식 주민투표 전날인 23일 “서울시민들이 판단하실 것”이라며 “지자체마다 사정이 다르고, 형편과 사정이 다 있어 거기에 맞춰서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즉답을 피한 것이다.
친박계 한 의원은 “지자체마다 사정이 다르다는 박 전 대표의 말은 결국 사정이 허락하는 곳에선 무상급식을 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전국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서울에서 무상급식 논쟁이 사생결단으로 흘러가는 것을 박 전 대표가 납득하겠느냐”고 말했다.
이같은 반대의 목소리는 이명박 정부 내내 계속됐다.
거슬러 올라가면 박 전 대표는 지난 2009년 7월 미디업법을 둘러싸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극한 대치가 지속되던 시점에 침묵을 지키면서 “직권상정에 의해 미디업법이 처리될 경우 본회의장에 참석한다면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한 미디어법 개정안은 결국 타협을 거쳐야 했다.
작년 1월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내놓자 박 전 대표는 “국민 신뢰를 잃은 것에 책임질 문제”라면서 강력 반발했다. 또 “세종시 근본 취지는 수도권 과밀화 해소”라면서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이런 박 전 대표의 반대는 여권내 적전분열을 불러왔고, 국회에서 결국 세종시 수정안은 폐기됐다.
박 전 대표는 올 3월31일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관련, “국민과 약속을 어겨 유감스럽다. 제 입장에서도 계속 추진 할 일”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동남권 신공황 백지와를 ‘대선공약 파기’로 비판하는데 그치지 않고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서 신공항 재추진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같이 박 전 대표는 이명박 정부 집권 내내 ‘여당 내 야당’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자신의 주장과 맞지 않는 사안에 대해선 반대 의견 개진을 불사했고, 논란이 거듭되는 사안에 대해선 즉답을 피하면서 자신의 원칙을 지켜온 셈이다.
한 정치권 인사는 “박 전 대표는 자신의 원칙과 정치적 현안에 대해 절묘하게 외줄타기를 해온 것”이라며 “그만큼 그는 여권내 최대 지분을 갖고 흔들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