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현대·신세계 등 3대 백화점과 중소납품업체의 판매수수료 인하 실행계획에 대해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중소납품업체 판매수수료는 10월 분부터 소급 적용돼 3∼7%포인트씩 인하된다.
공정위에 따르면 판매수수료가 인하가 적용되는 중소업체는 롯데백화점 403곳(50.4%), 신세계백화점 330곳(54.1%), 현대백화점 321곳(51.3%)이다.
백화점 업계는 이날 공정위 발표가 나옴에 따라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이미 협의를 통해 인하하기로 합의하기로 한 사항이기 때문에 빨리 결정이 나서 차라리 속 시원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공정위가 앞으로는 가매출·상품권 강요 등에 대한 개선 방침을 밝힌 데 대해선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백화점 관계자는 “동반 성장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너무 규제 일변도로 밀어붙이는 것 같다”며 “소비심리 악화로 10월 매출신장률도 이전보다 떨어져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고 전했다.
3대 백화점을 제외한 중소형 백화점들은 아직까지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계속 상황을 주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백화점 관계자는 “3대 백화점들에 비해 수수료가 높은 편이 아니라 아직까지 공정위에서 지침이 내려온 것은 없다”며 “결국 따라가야 하겠지만 아직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만 있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공정위가 이달 안으로 3대 대형마트, 5개 TV홈쇼핑의 판매수수료 인하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전하면서 마트업계도 놀란 눈치다.
마트 관계자는 “갑자기 언론을 통해 공정위가 마트 수수료도 이달 안으로 개선하겠다는 방침을 듣고 당황했다”며 “내부적으로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