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미주한인회총연합회(미주총연)가 미국의 대표적인 흑인 인권단체인 전미유색인종발전협회(NAACP)와 중재 협상에 타결한 게 이바지했다.
미주총연은 2일(현지시간) 댈러스의 NAACP 지도부와 만나 한인 업소를 대상으로 한 과격 흑인 단체와 주민들의 불매 운동이 중단되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이 두 단체는 한인 주유소 업주와 흑인 고객 간 개인 갈등이 비화해 인종 갈등으로 번져선 안된다는 데 공감을 형성했다.
가장 의미있는 성과는 흑인 시민사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지닌 NAACP가 이번 사태에서 발을 뺀 것이다. NAACP 댈러스 지부 관계자들은 이날 저녁 유 회장과 댈러스 한인회 안영호 회장, 김태균 부회장과 회동한 뒤 기자회견에서 “이 문제는 개인 간의 다툼인데 인종 갈등돼 상부에서 매우 격앙돼 있다”며 “갈등과 폭력은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위 주동자인 제프리 무하마드 씨도 “동맹조직에서 원한다면 시위를 중단할 것”이라고 말해 조만간 시위가 중단될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연방정부가 개입 의사를 밝힌 것도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종문제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이번에 사태가 해결돼도 불안전한 봉합에 그칠 수도 있다. 우선 사건 당사자가 화해하지 않은 점은 부담 요인이다. 또 비주류 과격 성향의 흑인 시위대 입장에선 NAACP의 이번 조치는 상부 또는 주류의 일방적 통보나 정치적 타협으로 여길 수 있다. 일단 시위를 접더라도 앞으로 유사 사건이 발생하면 이번 사건이 기폭제가 될 가능성도 크다.
인종문제 전문가들은 한인사회가 지금 당장이라도 흑인사회를 껴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컨대 흑인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흑인 노숙자나 부랑아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등 ‘친구’로 다가서라는 것이다.
미주총연 관계자는 “이번 일을 발판으로 과거 미국 내 한·흑 갈등 사례를 뒤돌아 보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