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상반된 의견이 한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7일 국제금융센터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세계적인 IB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지난 2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향후 한국 가계부채의 연착륙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골드만삭스는 “도시근로자의 가계소득 대비 대출이자 비중이 지난 2002년 저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2%대로 10년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대출이자 비용보다 소득세와 사회보장세 등 세금부담이 가계의 가처분 소득 감소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문제를 고려해 통화정책을 운용한다면 연착륙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가계부채가 한국 경제의 주요 불안 요인이기는 하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이며 대출이자 비용을 잘 조율한다면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데 무게중심이 쏠려 있다.
반면 또 다른 글로벌 IB인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가계부채의 연체율 상승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한국은 가계 가처분소득의 20%를 가계부채 원리금으로 갚고 있다”며 “2012~2013년 중 전체 가계대출의 3분의 1 가량에 대한 원리금 상환이 시작되는 만큼 연체율 상승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도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가계 연체율 모두 상승세를 타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가계 연체율이 지난 2010년 초부터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한국은행의 가계부채 산정 기준에 대한 평가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부 IB들은 국내 자영업자 비중이 상당히 높은 상황에서 한은이 자영업자 대출도 가계부채에 포함시키다보니 전체 가계부채가 과다 계상돼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계부채 이자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렸다.
HSBC와 BNP파리바 등은 3월 중 한은이 한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골드만삭스와 스탠다드차타드(SC) 등은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돼 한은이 금리 인하 결정에 신중한 입장을 견지할 것”이라며 올 들어 첫 금리 인하 시기를 2분기 이후로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IB들의 상이한 분석이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 금융권 인사는 “대부분의 글로벌 IB는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세가 가파른 것은 사실이지만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만한 요인은 아니라는데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지나치게 상반된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경우 한국 경제가 불안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