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호르무즈 봉쇄 추진… 산업계 대책마련 비상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하반기 경제 전망의 주요 변수였던 이란문제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계는 대이란 수출 대체시장 발굴과 유가급등에 따른 원자재가격 리스크 관리에 급박해졌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이란의 미사일 시험 발사와 호르무즈 해협 봉쇄 법안 추진으로 중동지역 불안이 고조됐다. 이는 당장 유가 급등으로 이어져 석유업계가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정유업계로서는 일시적으로 유리해졌다. 유가 인상으로 재고평가금액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그간 유가 하락세로 정유사가 재고처리에 애를 먹었지만, 최근 갑작스런 유가인상으로 오히려 공급이 달리는 상황이 됐다. 주유소들의 주문이 쇄도해 재고물량이 급격히 줄었다고 업계는 전했다.

하지만 원유만큼 석유제품가격이 따라 오르지 않으면 정제마진이 줄어들기 때문에 정유업계로서도 사태 추이를 지켜보며 긴장할 수밖에 없다.

원유 수급차질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원유수입 비중의 약 10%를 차지하는 이란산은 물론,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는 최악의 경우 90%에 육박하는 원유 수입이 차질을 빚게 된다. 대부분의 원유 수송선이 호르무즈해협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대이란 수출 비중이 높은 철강, 석유화학, 기계, 가전 기업들은 대체시장을 찾기 위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체시장 발굴이 필요하지만 오랜 교역 상대국인 이란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이란과 수출품목이나 환경이 비슷한 사우디아라비아, 리비아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이란 수출 중단에 따른 피해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이란 수출기업은 2150개였는데, 이 중 중소기업은 98%(2107개)로, 전체 수출의 80%를 차지했다.

유가급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리스크는 산업계 전반에 드리워졌다. 비용 절감 및 에너지 절약 등 에너지난에 대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LG경제연구원은 “이란의 핵무기 개발이 가시화되면 이스라엘이 과거 이라크(1981년)와 시리아(2007년)에서와 같이 단독 공격에 나서면서 유가가 급등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란 사태가 자칫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로 이어지면 고유가에 의한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면서 “국제유가 급등사태 및 오일쇼크를 대비해 석유 비축 규모를 확대하고 에너지 수급로를 다양화하는 등 비상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란의 군사력은 페르시아만에 주둔한 미국과 미 동맹국의 군사력에 대응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