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베이징의 한 대북전문가는 "북한이 중국에게 로켓발사와 관련해 사전통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로켓발사 시점에 임박해서 통보했거나 발사 후 곧바로 통보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 전문가는 로켓발사 소식에 중국 당국은 상당히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발사로 인한 파장을 분석하느라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고 현지 반응을 전했다.
중국은 로켓 발사후 북한의 대외정책 변화 가능성과 함께 한국, 미국 , 일본 등 주변국의 동향과 북한 제재 논의 수위변화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북한의 우주개발 권리를 인정했지만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의 제한을 받는다고 밝힌 만큼 유엔 결의를 어긴 북한의 이번 로켓 발사에 대한 제재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동안 중국 외교부는 북한의 로켓 발사가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북한이 ‘신중히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해 사실상 로켓 발사 중단을 요구해왔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 역시 이날 "우리는 국제사회가 보편적 우려를 표시한 가운데 (로켓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조선(북한)에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훙 대변인은 “조선은 평화적 우주 이용권이 있지만 이러한 권리는 유엔 안보리 상관 결의 등의 제약을 받는다”며 “조선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안보리의 관련 대응은 마땅히 신중하고 적절해야 한다”며 북한에 대한 추가 제제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