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기축통화(reserve currency)를 보유하지 못하므로 대외적인 충격에 취약하다. 이는 ‘원죄(original sin)’라고도 알려져 있다.
한국은 그동안 외환건전성부담금, 선물환 포지션 제도 등과 같은 거시건전성 조치를 시행하며 취약점을 보완하고 있다.
박 장관은 “아시아 지역 차원에서도 스스로 위기를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ASEAN+3 국가들을 중심으로 CMIM, AMRO 출범 등 지금까지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아직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아시아 자본시장 발전방안을 강조하고 나섰다. 그간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 실물부문에 비해 금융부문 통합은 아직 훨씬 뒤쳐져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아시아 지역 내(intra-regional) 무역 비중은 역내 국가 전체 무역 50% 이상이지만(55.5%, 2011년), 역내 상호간 채권 투자는 10%(7.3%, 2010년)에도 미치지 못한다. 아시아 금융시장이 발전한다면, 역내 자본흐름 선순환에 기여할 수 있는 셈이다.
박 장관은 최근 아시아 지역에 대한 일본 등 아시아계 은행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유럽 은행 디레버리지 영향을 완충한 것을 사례로 꼽았다.
시장 발전을 위해 역내 결제시스템(RSI) 등 핵심적 금융 인프라를 조속히 확충하는 한편, ‘역내 채권시장의 규제 조화’ 논의도 가속화되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무역결제시 역내 통화의 활용도 필요성도 제시했다. 최근 한국과 중국 양자 통화스왑 자금을 활용한 시범 프로그램 추진은 의미 있는 진전으로 해석되고 있다.
박 장관은 “장기적으로는 공공 부문 도움 없이도 시장에서 자발적으로 자국통화 무역결제가 활성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경제용어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sation) =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AMRO(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