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박근혜 정부와 버락 오바마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처음 개최되는 회담이라는 점에서 향후 4년간 손발을 맞추기 위한 신뢰쌓기의 장이 될 전망이다.
◆60년 한·미동맹 재확인, 북핵 공조 논의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의 이번 방미는 올해가 한·미동맹 60주년을 맞아 양국관계를 평가하고 새로운 협력방향을 설정하는 동시에,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변인은 또 "현재의 한반도 정세에 비춰 한·미간 공조가 그 어느 때보다도 긴요한 시점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말했다.
양국 정상회담이 지난 2월 12일 제3차 핵실험을 실시한 이후로 석 달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북한의 도발위협 상황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한반도 안보위기 해결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미 양국이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인 제재보다는 '올바른 선택 시 보상'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는 만큼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국면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자신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의미를 오마바 대통령에게 설명하면서 우리 정부는 남북간 신뢰조성 차원에서 북한의 추가도발이 없으면 북한에 인도적 지원을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도 1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협상은 미국의 오랜 입장"이라면서 "북한이 국제의무와 한반도 비핵화 준수 등의 기본 원칙에만 동의한다면 다른 길을 택할 수 있다"고 분명한 조건을 달았다.
◆'국익 우선' 외교 대통령으로 국제무대 데뷔
박 대통령은 이번 방미를 시작으로 국가원수 자격으로는 처음으로 국제무대에 데뷔한다.
박 대통령은 외교와 관련해서는 국익이 가장 우선이라는 생각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간 가장 첨예한 사안인 원자력협정 개정이나 자유무역협정(FTA) 등에서 국익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데 진력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부터 일관되게 "한국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확대할 수 있게 선진적이며 호혜적으로 개정될 수 있도록 하자"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에번스 리비어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한 보고서에서 한ㆍ미 원자력협정 개정에 대해 양국간 가장 성가신 문제로 '정교한 외교'가 필요하지만 지난해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 연장 협상과 같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대통령은 또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낮추기 위한 협상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한국과 미국이 각각 6대 4의 비율로 부담하고 있지만 5대 5로 평등하게 하자는 게 우리 정부 입장이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한·미 양국 경제인들과도 스킨십을 강화하며 '코리아 세일즈' 외교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미 상공회의소 주최 라운드테이블 오찬에선 우리나라 경제여건과 투자환경 등을 설명하고 연구개발(R&D)을 비롯한 각종 분야에서 양국 기업간 협력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