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자회사는 코레일이 소유하는 형태로 하되 부당한 경영간섭을 막을 방침이다. 자회사의 민영화를 방지하기 위해 민간 매각 금지 방안도 마련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의 '철도산업 발전방안'을 확정·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우선 철도운영의 공영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쟁을 유도하고, 경영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코레일을 '지주회사+자회사' 체제로 전환한다.
코레일은 간선 노선 중심으로 여객운송사업을 이어나가면서 지주회사 기능을 겸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철도물류·철도차량관리·철도시설유지보수 등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거나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분야는 2017년까지 점진적으로 자회사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자회사는 코레일이 지분의 100%를 소유하게 된다.
또 2015년 개통되는 수서발 KTX 노선은 코레일이 30% 수준을 출자하고 경영권을 확보한 출자회사에서 운영하게 된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무산되면서 자본이 급감하고 부채비율이 400% 이상을 넘어가며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져 있는 코레일의 재무여건을 감안한 조치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나머지 지분은 공적자금으로 지원하게 되며 민간매각 제한에 동의하는 자금만을 유치하고 투자약정 및 정관에도 이를 명시한다는 계획이다.
또 2017년까지 개통 예정인 신규 노선과 코레일이 운영을 포기하는 적자선에는 새로운 사업자의 시장참여가 가능해진다.
원주~강릉 노선은 동계 올림픽의 차질 없는 준비와 간선간 네트워크 효과 등을 감안해 원칙적으로 코레일이 운영하되, 코레일이 운영포기 의사를 표명하는 경우 새로운 운영자를 선정하게 된다.
부전~울산, 소사~원시, 성남~여주 등 건설 중인 노선은 보조금 입찰제를 통해 운영자를 선정하되 코레일도 참여할 수 있게 했다.
수익성 부족을 이유로 코레일이 운영을 포기하는 적자노선의 경우에는 최저보조금 입찰방식으로 운영자를 선정하거나 지자체가 운영에 참여하는 제3섹터 방식의 운영이 검토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용산발 KTX와 수서발 KTX의 경쟁을 통해 철도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부채를 갚아나가는 선순환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