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유통업체들은 신입사원이나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채용을 중단하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계획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현 정부가 추진 중인 일자리 창출 목표를 달성하려면 규제 일변도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그룹·신세계그룹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잇따라 비정규직 처우 개선에 나서고 있지만,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는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J그룹은 최근 아르바이트 직원 1만5000여명을 '시간제 일자리'로 전환키로 결정했다. CJ푸드빌·CJ CGV·CJ올리브영 등 직영매장에 소속된 모든 아르바이트 직원은 계약기간 제한 없이 본인 희망 시점까지 근무할 수 있게 됐다.
이마트는 올해 4월 진열 전문사원 91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킨 데 이어 5월에는 패션상품 판매사원 1600여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또 신세계그룹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을 위해 리조트 무료 이용 패키지·해외 연수 등 다양한 복지혜택을 제공했다.
문제는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한 유통업체들의 노력은 지속되고 있지만,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는 선뜻 나서지 못한다는 것이다. 출점 및 영업규제 등으로 신규점 오픈이 불가능한 데다 매출에도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에 따르면 대형마트는 최근 10년간 점포 확장으로 2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대형마트 점포 한 곳당 500명 내외의 일자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올해는 대형마트 신규출점이 없어 새로 생긴 일자리가 하나도 없는 셈이다.
오히려 영업규제로 업체들의 실적이 악화되며 7000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대형마트 3사와 현재 거래하고 있는 7000여곳의 중소협력사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면 그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대형마트 납품업체 사장 A씨는 "휴일 영업규제 실시 이후 15명이었던 직원을 8명까지 줄였다"며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사람을 더 줄일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외식 대기업도 신규출점에 제동이 걸리면서 올해 계획된 채용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외식업 전반에 걸친 규제로 고용 축소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며 "기존 인력을 구조조정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업계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일자리 창출 청사진인 '고용률 70%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서라도 규제정책이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창조경제의 핵심인 고용창출을 위해서는 내수기업들이 그 역할을 담당할 수밖에 없다"며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정책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