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전도시철도에는 ‘석면이 없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20 14: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기출 기자 = 국내 일부 철도 역사에서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돼 이용객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는 가운데 대전도시철도의 22개 모든 역사에서는 석면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라돈,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등 9개 오염물질도 법정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균 미세먼지 농도도 기준치 150마이크로그램(/)36% 수준인 54.1마이크로그램에 불과해 대전도시철도 역사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임을 입증했다.

고용노동부가 지정한 석면 전문조사기관인 이에스연구소는 지난 417일부터 715일까지 90일동안 대전도시철도 22개 역사에 대한 석면 검출여부를 집중 조사한 결과 석면 불검출판정을 내렸다.

연구소는 22개 모든 역사의 천장재,벽체재료,바닥재,보온재,칸막이,배관재 등을 빠짐없이 조사한 결과 석면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1호선 건설 당시와 시설물 유지 보수시 석면이 함유된 자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으로서 당연한 결과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이와함께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매년 전문기관에 의뢰

해 측정하는 공기질 조사(9~10)에서도 9개 항목 모두 법정 기준치를 크게 밑돌아 대전도시철도 모든 역사가 오염인체유해물질로부터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명됐다.

이번 공기질 조사에서도 석면 불검출’,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법정 기준치 36% 수준, 실내공기질 공기오염 지표인 이산화탄소 역시 기준치 1000ppm에 훨씬 못 미치는 531ppm으로 나타난 것.

공사는 고객과 시민들의 석면에 대한 불안감을 덜기 위해 공사 홈페이지와 승강장 행선안내게시기,대전역과 시청역에 있는 공기질 모니터에 석면 불검출과 공기질 측정결과를 수시로 공개하기로 했다.

고종현 환경설비팀장은 "대전도시철도 모든 역사 시설물은 석면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민들께서 안심해도 된다맞춤식 환기제어와 친환경 자재사용을 통해 미세먼지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에 대한 엄격한 관리로 안전하고 쾌적한 역사 공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석면은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된 섬유질 광물로써 건물내부 마감재, 방화재, 전기절연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재료로 1급 발암물질로 지정돼 지난 2009년부터사용이 전면 중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