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권 신공항이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 대신 ‘김해공항 확장’으로 귀결됐음에도 23일 정치권의 ‘수용 불가’ 여론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전날 공식석상에서 “김해 신공항”이라고 언급하자, 야권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까지 요구하며 격분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과의 통일대화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영남권 신공항이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 대신 ‘김해공항 확장’으로 귀결됐음에도 23일 정치권의 ‘수용 불가’ 여론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이 전날 공식석상에서 “김해 신공항”이라고 언급하자, 야권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까지 요구하며 격분하고 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이건 김해신공항이 아니라 김해공항 신활주로 사업”이라며 “이를 신공항이라 말하는 건 국민을 속이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우 원내대표는 “공약파기는 공약파기”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서 왜 이렇게 결정할 수밖에 없었는지 소상히 설명하고 국민께 사과하는 게 도리”라고 압박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 출연해 “오늘 최고의 명언은 ‘김해공항이 신공항이다. 공약 지켰다’라고 청와대에서 얘기한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을 설득해야지, 어떻게 해서 김해가 신공항이냐”며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솔직하게 사과하고 그 지역민들을 설득해서 ‘새로운 시대로 가자’고 하는 게 좋지…이렇게 하면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이건 정책이 아니라 면피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해 “죽은 신공항을 대선 공약으로 다시 들고 나와서 논쟁에 불을 지핀 박근혜 대통령부터 나서서 이 일을 수습하셔야 된다”고 말했다.
그는 “PK와 TK 두 지역사이에 감정의 골도 패였다”면서 “(지역민들의) 서운함을 달래고 상처를 메우는데 정부가 적극 나서야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처럼 ‘김해 신공항’ 표현을 쓰며 논란 조기 진화에 주력했다.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비대위 회의에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논의 끝에 김해 신공항이 확정됐다”면서 “최선의 결론인 만큼 이를 존중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도 같은 회의에서 “정부, 청와대와 혼연일체가 돼 김해공항 확장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오는 27일) 관련 5개 시·도지사와 간담회를 열어 해당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친박계 조원진 의원(대구달서병)은 이날 김해공항 확장에 대해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 차원의 진상 조사와 김해 지역민들의 반발을 예고하며 “만약 김해공항 확장이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면 밀양공항은 재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