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기업인 해외 출장이 어려워진 가운데 정부가 베트남으로부터 143개사 소속 기업인 340명에 대한 예외입국을 승인받았다.
이들 기업인 대다수는 중소기업 소속 직원으로, 그간 베트남 당국과 개별 교섭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기업인 등 필수 인력 이동 허용' 제안에 베트남 당국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화답하면서 베트남에 입국하게 됐다.
◆143개사 기업인, 전세기로 베트남 입국
28일 외교부에 따르면 143개 기업의 필수인력 340명으로 구성된 한국 기업인 출장단은 29일 전세기 두 편을 통해 베트남으로 입국할 예정이다.
베트남은 지난 2월 29일부로 한국민에 대해 15일간 무비자 방문 허가를 임시 중단했다. 지난달 22일부터는 모든 외국인에 대한 입국을 일시 중단했다. 아울러 이달 1일부터 모든 국제선 항공기의 베트남 착륙을 금지했다.
이번 기업인 출국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업인 단일 출국 기준 최대 규모다. 출장인원은 플랜트 건설, 공장 증설·운영 등을 위한 대·중견·중소기업의 필수인력들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공기업 1개, 금융업 6개, 대기업 9개, 중소·중견기업 127개 인력으로 구성됐다. 중소·중견사 비중이 82%에 달한다.
기업인들은 현지에 도착한 이후 14일간의 시설격리를 거쳐 내달 13일부터 근무를 개시할 방침이다.
정부는 소규모 출장의 경우, 개별 건별로 베트남 측과 교섭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다수 기업으로부터 출장자를 모집해 전세기 이동·방역·격리까지 한꺼번에 추진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이후 정부는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베트남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와 교섭을 이어왔다.
◆文대통령 "중기인력 입국 지원해달라"
이번 입국이 성사된 배경에는 한국과 베트남 정상이 지난 3일 전화통화에서 기업인 등 필수인력의 원활한 이동을 통해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보장하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에게 "베트남 현지 공장의 원활한 가동을 위해 중소기업 인력도 빠른 시일 내 베트남에 입국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 드린다"고 요청했다.
중국 역시 한국 정부의 이 같은 요청에 지난 17일 한·중 외교차관 간 영상회의를 열고 양국 기업인 예외입국을 신속히 보장하는 '한·중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제도'를 마련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다만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베트남으로의 기업인 입국도 (중국처럼) 정례화되는 것이냐'는 물음에 "아직 제도화라고 말할 단계는 아니다. 일단 기업 수요를 반영해서 계속 베트남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국내 방역 성과 등 진전된 부분이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각국의 방역조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 기업인의 필수적 인적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여타국과 관련 협의를 지속해오고 있다"면서 "지난달 초 국무조정실과 관계부처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외교부는 21개국을 상대로 기업인 5600여명의 출장 56건을 교섭해 이날 기준 8개국에 3020여명이 입국을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들 기업인 대다수는 중소기업 소속 직원으로, 그간 베트남 당국과 개별 교섭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기업인 등 필수 인력 이동 허용' 제안에 베트남 당국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화답하면서 베트남에 입국하게 됐다.
◆143개사 기업인, 전세기로 베트남 입국
베트남은 지난 2월 29일부로 한국민에 대해 15일간 무비자 방문 허가를 임시 중단했다. 지난달 22일부터는 모든 외국인에 대한 입국을 일시 중단했다. 아울러 이달 1일부터 모든 국제선 항공기의 베트남 착륙을 금지했다.
이번 기업인 출국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업인 단일 출국 기준 최대 규모다. 출장인원은 플랜트 건설, 공장 증설·운영 등을 위한 대·중견·중소기업의 필수인력들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공기업 1개, 금융업 6개, 대기업 9개, 중소·중견기업 127개 인력으로 구성됐다. 중소·중견사 비중이 82%에 달한다.
기업인들은 현지에 도착한 이후 14일간의 시설격리를 거쳐 내달 13일부터 근무를 개시할 방침이다.
정부는 소규모 출장의 경우, 개별 건별로 베트남 측과 교섭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다수 기업으로부터 출장자를 모집해 전세기 이동·방역·격리까지 한꺼번에 추진하는 방안을 구상했다.
이후 정부는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을 중심으로 베트남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와 교섭을 이어왔다.
◆文대통령 "중기인력 입국 지원해달라"
이번 입국이 성사된 배경에는 한국과 베트남 정상이 지난 3일 전화통화에서 기업인 등 필수인력의 원활한 이동을 통해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보장하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에게 "베트남 현지 공장의 원활한 가동을 위해 중소기업 인력도 빠른 시일 내 베트남에 입국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 드린다"고 요청했다.
중국 역시 한국 정부의 이 같은 요청에 지난 17일 한·중 외교차관 간 영상회의를 열고 양국 기업인 예외입국을 신속히 보장하는 '한·중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제도'를 마련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다만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베트남으로의 기업인 입국도 (중국처럼) 정례화되는 것이냐'는 물음에 "아직 제도화라고 말할 단계는 아니다. 일단 기업 수요를 반영해서 계속 베트남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국내 방역 성과 등 진전된 부분이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각국의 방역조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 기업인의 필수적 인적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여타국과 관련 협의를 지속해오고 있다"면서 "지난달 초 국무조정실과 관계부처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외교부는 21개국을 상대로 기업인 5600여명의 출장 56건을 교섭해 이날 기준 8개국에 3020여명이 입국을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