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부형욱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이나 잠수함 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 발사하는 등 도발을 감행한다는 전제 하에 이같이 분석했다.
부 위원은 "미국은 2019년 8월 중거리핵전력조약(INF)을 파기한 이래 중거리미사일을 착착 준비하고 있다"며 "북한이 도발하면 이를 명분으로 한반도에, 중국이 도발하면 그것을 명분으로 괌, 오키나와 등에 중거리미사일을 배치하려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어 "그렇게 된다면 우리는 사드(THAAD) 배치의 후폭풍보다 더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과의 전략적 움직임에 대해서는 북핵에는 같이 대응하되 중국 견제에는 일정 선을 긋는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익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중국은 물론이고 미국을 향해서도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INF 탈퇴 직후인 지난 8월 캘리포니아주 샌니콜러스섬에서 재래식으로 설정된 지상발사형 순항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